서울에서 부산까지 멀티탭으로 연결하면.jpg
컨텐츠 정보
- 1,936 조회
- 18 댓글
- 0 추천
- 0 비추천
- 목록
본문
관련자료
댓글 18
야야이야님의 댓글
혹시나 궁금해 하실 분들을 위해서..
Q) 그럼 발전소에서 만들어지는 전기는 어떻게 쓸 수 있는거죠?
A) 윗글에서 말하는 저항에 의한 전압강하는 e=IR이고 R은 선로의 길이에 비례합니다. 즉 전압이 깍이는 정도는 선로의 길이에 비례하는 것이죠, 하지만 전력은 P=VI입니다. 이 전력손실의 공식은 PR/(V^2cos세타)인데, 저항에 비례하고 전압의 제곱에 반비례하죠
우리가 발전소에서 만들어지는 전기를 보내기 위해서는 승압이라는 과정을 거쳐서 전압을 엄청높입니다.(가정에서 220V, 전기를 보낼때는 154000V, 345000V) 그리고 전깃줄을 엄청 굵은걸 여러다발 사용하는데, 저항은 또 전선의 면적에 반비례합니다. 따라서 전력손실은 전선이 굵어질수록, 전압이 높아질수록 줄어들게 되는거죠
이런 원리로 전기를 먼 곳까지 전송한다음 강압 과정을 거쳐서 우리가 쓰는 220V로 집까지 재 전송을 하게 됩니다!
Q) 그럼 발전소에서 만들어지는 전기는 어떻게 쓸 수 있는거죠?
A) 윗글에서 말하는 저항에 의한 전압강하는 e=IR이고 R은 선로의 길이에 비례합니다. 즉 전압이 깍이는 정도는 선로의 길이에 비례하는 것이죠, 하지만 전력은 P=VI입니다. 이 전력손실의 공식은 PR/(V^2cos세타)인데, 저항에 비례하고 전압의 제곱에 반비례하죠
우리가 발전소에서 만들어지는 전기를 보내기 위해서는 승압이라는 과정을 거쳐서 전압을 엄청높입니다.(가정에서 220V, 전기를 보낼때는 154000V, 345000V) 그리고 전깃줄을 엄청 굵은걸 여러다발 사용하는데, 저항은 또 전선의 면적에 반비례합니다. 따라서 전력손실은 전선이 굵어질수록, 전압이 높아질수록 줄어들게 되는거죠
이런 원리로 전기를 먼 곳까지 전송한다음 강압 과정을 거쳐서 우리가 쓰는 220V로 집까지 재 전송을 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