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압] 한국 창문이 너무 불편하다는 외국인
컨텐츠 정보
- 1,798 조회
- 21 댓글
- 6 추천
- 0 비추천
- 목록
본문

관련자료
댓글 21
차에코푼스키님의 댓글
요즘 창호 유리는 거의 99프로 이상
이중으로된 페어유리를 씁니다
유리 사이에 간봉이라는걸 대고
실리콘작업을 합니다.
이때 한쪽유리는 투명
또 하나는 그린 또는 블루, 브라운 등
색을 넣습니다. 물론 둘다 투명으로 해도
상관없지만 그렇게되면 태양복사 에너지가
높아져 단열에 비효율적이에요
일반 색상 코팅보다 더 강하게
금속 성분을 코팅한 유리가 이제 로이유리
(LOW-E)라고합니다.
E는 emissivity 발음으로 이미씨비티.
복사열을 뜻하는데 그게 낮은유리라는 뜻이겠지요
언뜻생각할때 복사열이 높으면 유리가 열을
머금고있으니 따듯하지않을까 생각하지만
복사열 없이 팅겨내야 단열효율이 높습니다
겨울엔 내부열이 빠져나가지않게 반사하고
여름엔 외부열이 들어오지못하게 반사해서
내부냉방이 빠져나가지 못하게해서
냉,난방비 절감효과가 있답니다
-이상 설명충-
이중으로된 페어유리를 씁니다
유리 사이에 간봉이라는걸 대고
실리콘작업을 합니다.
이때 한쪽유리는 투명
또 하나는 그린 또는 블루, 브라운 등
색을 넣습니다. 물론 둘다 투명으로 해도
상관없지만 그렇게되면 태양복사 에너지가
높아져 단열에 비효율적이에요
일반 색상 코팅보다 더 강하게
금속 성분을 코팅한 유리가 이제 로이유리
(LOW-E)라고합니다.
E는 emissivity 발음으로 이미씨비티.
복사열을 뜻하는데 그게 낮은유리라는 뜻이겠지요
언뜻생각할때 복사열이 높으면 유리가 열을
머금고있으니 따듯하지않을까 생각하지만
복사열 없이 팅겨내야 단열효율이 높습니다
겨울엔 내부열이 빠져나가지않게 반사하고
여름엔 외부열이 들어오지못하게 반사해서
내부냉방이 빠져나가지 못하게해서
냉,난방비 절감효과가 있답니다
-이상 설명충-
차에코푼스키님의 댓글
색상으로만 하시려면
사실 큰 차이는 없어요
겉에서 봤을때 그나마 쎈건
블루>브라운>그린
순서에요
"그나마" 에요
하지만 블루,브라운은
쉽게 질리고 눈이 피로해요
그린이 오래 질리지않고 편해요
각각 장,단점이 있어요
가격 생각안하시면 그냥 로이유리
선택하세요
선택하셨다해도 또 한가지를 걱정하셔야 해요
로이유리인지 아닌지 일반인들은 구분이 힘들어요
업체가 작정하고 속이면
그린유리를 로이유리로 속일수도 있어요
유리업체에 유리에관한 시험성적서를
요청하지않는이상 일반인들은 확인할
방법이 없어요
사실 큰 차이는 없어요
겉에서 봤을때 그나마 쎈건
블루>브라운>그린
순서에요
"그나마" 에요
하지만 블루,브라운은
쉽게 질리고 눈이 피로해요
그린이 오래 질리지않고 편해요
각각 장,단점이 있어요
가격 생각안하시면 그냥 로이유리
선택하세요
선택하셨다해도 또 한가지를 걱정하셔야 해요
로이유리인지 아닌지 일반인들은 구분이 힘들어요
업체가 작정하고 속이면
그린유리를 로이유리로 속일수도 있어요
유리업체에 유리에관한 시험성적서를
요청하지않는이상 일반인들은 확인할
방법이 없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