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깨져가는 국룰.jpg
컨텐츠 정보
- 1,803 조회
- 46 댓글
- 18 추천
- 0 비추천
- 목록
본문


2000원
관련자료
댓글 46
재래식된장떡볶이님의 댓글
100년전에 흰쌀밥이 비쌌으니 지금 가격에 만족하라는거랑 뭐가 다르나요.
무슨 물가를 그런식으로 정합니까;;
20kg에 쿠팡가로 55,000원
한공기로 치면 원가가 250원가량 되구요.
밥만들고 푸는 인건비, 설거지 수돗세, 전기료
다포함해도 2,000원이면 너무 비싸지 않나요?
1,500원도 아니고 두배올린 2,000원은 정말 양심없고, 마음씀이 그리 좋아보이진 않네요.
500원짜리 현금받기 귀차나서?
요샌 다 카드쓰고,
현금 많이쓰는, 비교적 월세가 저렴한 시장에서 2천원으로 올리면 다들 안갑니다.
님 말씀대로 공깃밥 2천원은 안가면 그만이니
안가겠습니다.
무슨 물가를 그런식으로 정합니까;;
20kg에 쿠팡가로 55,000원
한공기로 치면 원가가 250원가량 되구요.
밥만들고 푸는 인건비, 설거지 수돗세, 전기료
다포함해도 2,000원이면 너무 비싸지 않나요?
1,500원도 아니고 두배올린 2,000원은 정말 양심없고, 마음씀이 그리 좋아보이진 않네요.
500원짜리 현금받기 귀차나서?
요샌 다 카드쓰고,
현금 많이쓰는, 비교적 월세가 저렴한 시장에서 2천원으로 올리면 다들 안갑니다.
님 말씀대로 공깃밥 2천원은 안가면 그만이니
안가겠습니다.
재래식된장떡볶이님의 댓글
자꾸 이상한 예시 가져오시네;;
공기밥이 요리임? ㅋㅋ직접 농사지으시나
카드수수료3프로 똑같았음.
지금 예전이랑 달라졌다고 하는부분만 얘기한거임.
500원에 팔라한적없구요
올라도 1,500원이면 적정한거같은데, 왜 2,000원이란거에 카드랑 시장얘기가 나온겁니다.
소비자들 의견이랑 절충없이 그냥 사먹든말든 알아서 하라는식으로 냅다 2000원으로 올렸는데 그걸 사먹는거보다
고물가시대에도 어느정도 소비자를 생각해주는 곳에 더끌리는곳에 가게 되어있습니다.
그냥 2000원 공깃밥 안먹겠다고요.
차라리 900원짜리 즉석밥먹고말지
파스타, 충무김밥등등 충분히 비싸다는 생각들지만, 환경,수요에 의해서 결정되는부분도 있으니 ‘공기밥’이랑은 논외인거 같네요.
공기밥이 요리임? ㅋㅋ직접 농사지으시나
카드수수료3프로 똑같았음.
지금 예전이랑 달라졌다고 하는부분만 얘기한거임.
500원에 팔라한적없구요
올라도 1,500원이면 적정한거같은데, 왜 2,000원이란거에 카드랑 시장얘기가 나온겁니다.
소비자들 의견이랑 절충없이 그냥 사먹든말든 알아서 하라는식으로 냅다 2000원으로 올렸는데 그걸 사먹는거보다
고물가시대에도 어느정도 소비자를 생각해주는 곳에 더끌리는곳에 가게 되어있습니다.
그냥 2000원 공깃밥 안먹겠다고요.
차라리 900원짜리 즉석밥먹고말지
파스타, 충무김밥등등 충분히 비싸다는 생각들지만, 환경,수요에 의해서 결정되는부분도 있으니 ‘공기밥’이랑은 논외인거 같네요.
가홍님의 댓글
그래서 반찬 가격을 따로 안받죠
예시를 든 일본은 밥
공기 자체 양도 다르고, 반찬은 추가로 받고 있는걸로 알고 있는데 아닌가요?
공기밥은 식당입장에선 그냥 흑자도 적자도 안나오는 상품 이에요.
여기서 반대 댓글
다시는 분들중에 식당 자영업 하시는분이 계신가 모르겠는데,
위에 분읔 공기밥이 요리가 아니라는 이상한 말씀도 하시고.
공기밥이 어디 자연에서 바로 뽑아다가 내놓는것도 아니고
2019년이랑 2023년 비교시
전기세, 가스비, 인건비, 월세가 얼마나 올랏으며
하다못해 그냥 김치 직접 담그기
위한 배투 한포기만 해도 2019년 하나로마트 1포기 1400원에서
지금 2023년 겨울기준 2600원이죠. 들어가는 고추가루, 젓갈, 무, 찹쌀 이런건 신경도 안쓰실거 같고.
그집이 공기밥 하나 딸랑 주고 2천원 받으면 정신나간 집인데,
현재 자영업 시장이 그리 녹녹치 않습니다.
여론이랑 시장분위기 때문에 눈치봐야하구요,
오죽하면 통계 작성이후 전체산업중 자영업 비율이 최저 치라고 발표할까요.
단돈 100원이라도 올리고 싶은데,
소위 말하는 식당은 싯가 반영이란게 어려워서 저렇게 하고 있는 겁니다.
감히 공기밥을 2천원을 받아? 너네 가게 오늘 내가 망하게 해주겠어, 여기 다같이 죽여버립시다 식의 반응은 좋지 않은것 같아요
예시를 든 일본은 밥
공기 자체 양도 다르고, 반찬은 추가로 받고 있는걸로 알고 있는데 아닌가요?
공기밥은 식당입장에선 그냥 흑자도 적자도 안나오는 상품 이에요.
여기서 반대 댓글
다시는 분들중에 식당 자영업 하시는분이 계신가 모르겠는데,
위에 분읔 공기밥이 요리가 아니라는 이상한 말씀도 하시고.
공기밥이 어디 자연에서 바로 뽑아다가 내놓는것도 아니고
2019년이랑 2023년 비교시
전기세, 가스비, 인건비, 월세가 얼마나 올랏으며
하다못해 그냥 김치 직접 담그기
위한 배투 한포기만 해도 2019년 하나로마트 1포기 1400원에서
지금 2023년 겨울기준 2600원이죠. 들어가는 고추가루, 젓갈, 무, 찹쌀 이런건 신경도 안쓰실거 같고.
그집이 공기밥 하나 딸랑 주고 2천원 받으면 정신나간 집인데,
현재 자영업 시장이 그리 녹녹치 않습니다.
여론이랑 시장분위기 때문에 눈치봐야하구요,
오죽하면 통계 작성이후 전체산업중 자영업 비율이 최저 치라고 발표할까요.
단돈 100원이라도 올리고 싶은데,
소위 말하는 식당은 싯가 반영이란게 어려워서 저렇게 하고 있는 겁니다.
감히 공기밥을 2천원을 받아? 너네 가게 오늘 내가 망하게 해주겠어, 여기 다같이 죽여버립시다 식의 반응은 좋지 않은것 같아요
가홍님의 댓글
반찬 이야기는 위에 일본읔 공기밥이 무한인데 한국은 왜그러냐 라는 말에 대한 반박입니다.
그리구 말씀하신거처럼 절충안을 생각해서 1100원 1200원 이런식으로 올리고 싶지만, 자영업은 기업이 아니라 한명이 책임지고 시장가를 형성할 수가 없어여.
그래서 90% 이상의 식당은 고정 시켜놓구요.
그리구 말씀하신거처럼 공기밥은 더이상 원가 250원에 천원에 팔아서 750원씩 남겨먹는 혜자 흑자 상품이 아닙니다.
마트 쌀 기준 6만원으로 했을때 주먹구구 식으로만 계산해도 500이상 생각하셔야해요.
그리구 천원에서 당연히 부가세 10%와 카드 수수료 3.25% 가 빠지니, 13.25%는 날아가구요(132원)
소득세도 당연히 나올테니 종소세만큼 또 차감이 되겟죠.
업종 및 사업주 특성에 따라 다르지만 영세업자 기준 6%정도로 보면 60원이 또 날아가구요,
그럼 천원에서 이백원이 빠진 팔백원 정도 손에 떨어지고,
원가 500원이라 햇을때 300원이네요.
하루에 공기밥 100그릇 판다고 가정하면 3만원 순이익 이구요.
100그릇을 하루에 팔정도면 영세업자도 아니겟군요.
그리구 말씀하신거처럼 절충안을 생각해서 1100원 1200원 이런식으로 올리고 싶지만, 자영업은 기업이 아니라 한명이 책임지고 시장가를 형성할 수가 없어여.
그래서 90% 이상의 식당은 고정 시켜놓구요.
그리구 말씀하신거처럼 공기밥은 더이상 원가 250원에 천원에 팔아서 750원씩 남겨먹는 혜자 흑자 상품이 아닙니다.
마트 쌀 기준 6만원으로 했을때 주먹구구 식으로만 계산해도 500이상 생각하셔야해요.
그리구 천원에서 당연히 부가세 10%와 카드 수수료 3.25% 가 빠지니, 13.25%는 날아가구요(132원)
소득세도 당연히 나올테니 종소세만큼 또 차감이 되겟죠.
업종 및 사업주 특성에 따라 다르지만 영세업자 기준 6%정도로 보면 60원이 또 날아가구요,
그럼 천원에서 이백원이 빠진 팔백원 정도 손에 떨어지고,
원가 500원이라 햇을때 300원이네요.
하루에 공기밥 100그릇 판다고 가정하면 3만원 순이익 이구요.
100그릇을 하루에 팔정도면 영세업자도 아니겟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