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모든 자동차가 인정하고 있지 않는 현상
컨텐츠 정보
- 1,044 조회
- 35 댓글
- 0 추천
- 0 비추천
- 목록
본문

관련자료
댓글 35
낮말은새가듣고반말하면쳐맞는다님의 댓글
요즘 소형카메라 잘 나오니까
완성차 출고할 때 악셀 브레이크 쪽에 카메라 설치해서 실제로 급발진 사고 나면 악셀 밟았는지 검증하면 될텐데
제조사에서는 절대 이렇게 안하겠지
완성차 출고할 때 악셀 브레이크 쪽에 카메라 설치해서 실제로 급발진 사고 나면 악셀 밟았는지 검증하면 될텐데
제조사에서는 절대 이렇게 안하겠지
ASTYNM님의 댓글
스타리아는 크게 이슈 됐던게 2건으로 기억하는데
한 건은 코일매트 경화로 페달이 눌렸던 거고
한 건은 디젤 오버런입니다
모든 디젤터보차는 발생 할 수 있는 현상이고
이 분야에서 가장 유명한 건 레인지로버가 있네요
둘 다 급발진이 아니라서
급발진으로 인정 할 수가 없는거고
노후차량이면 관리소홀로 몰 수 있는데
신형차량이라 현기에서 결함 인정한다면
터보차져 교체나
실린더나 그쪽 어디 교체
혹은 엔진교체 정도 나오겠네요
아마 결함인정은 안할거고 개별불량쪽 가능성이 크죠
급발진 사고의 문제가
급발진이 아닌 걸 급발진으로 우기다 보니
니들이 급발진이라고 하는거 죄다 급발진 아닌데?
하고 싸잡아 퉁치기 좋은 상황이란겁니다
허수가 너무 많아 진짜 급발진을 추려
확실하게 제조사에 책임을 지게 할 수가 없는게 문제입니다
미국토부에서 자체조사한 급발진 신고 통계로 보면
경험이 적은 초년생 운전자
나이가 많은 노년 운전자
전후진을 반복하는 주차장 진출입 상황
정차후 주행 등의 경우에서
압도적으로 많은 급발진 의심 신고가 접수됐습니다
거의 대부분이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요
이러니 제조사에서
조작미숙으로 몰고가기 딱 좋은거죠
차량 브랜드별 차이는 미미한 수준이었기 때문에
현기차 급발진 무서워서
수입차 탄다는 근거로 삼기엔 무리가 있고
오히려 해당 통계에선 현대 기아는 낮은 편에 속했습니다
다만 이 통계 자체가
뭐가 진짜 급발진인지 가짜 급발진인지
구분할 수가 없는 통계이긴 합니다
한 건은 코일매트 경화로 페달이 눌렸던 거고
한 건은 디젤 오버런입니다
모든 디젤터보차는 발생 할 수 있는 현상이고
이 분야에서 가장 유명한 건 레인지로버가 있네요
둘 다 급발진이 아니라서
급발진으로 인정 할 수가 없는거고
노후차량이면 관리소홀로 몰 수 있는데
신형차량이라 현기에서 결함 인정한다면
터보차져 교체나
실린더나 그쪽 어디 교체
혹은 엔진교체 정도 나오겠네요
아마 결함인정은 안할거고 개별불량쪽 가능성이 크죠
급발진 사고의 문제가
급발진이 아닌 걸 급발진으로 우기다 보니
니들이 급발진이라고 하는거 죄다 급발진 아닌데?
하고 싸잡아 퉁치기 좋은 상황이란겁니다
허수가 너무 많아 진짜 급발진을 추려
확실하게 제조사에 책임을 지게 할 수가 없는게 문제입니다
미국토부에서 자체조사한 급발진 신고 통계로 보면
경험이 적은 초년생 운전자
나이가 많은 노년 운전자
전후진을 반복하는 주차장 진출입 상황
정차후 주행 등의 경우에서
압도적으로 많은 급발진 의심 신고가 접수됐습니다
거의 대부분이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요
이러니 제조사에서
조작미숙으로 몰고가기 딱 좋은거죠
차량 브랜드별 차이는 미미한 수준이었기 때문에
현기차 급발진 무서워서
수입차 탄다는 근거로 삼기엔 무리가 있고
오히려 해당 통계에선 현대 기아는 낮은 편에 속했습니다
다만 이 통계 자체가
뭐가 진짜 급발진인지 가짜 급발진인지
구분할 수가 없는 통계이긴 합니다
ASTYNM님의 댓글
급발진은 있어요
그러니 제조사에서도 대책을 만드는거죠
현기뿐만 아니라 타 제조사도
급발진에 대비한 안전장치는 들어갑니다
하지만 모든 상황에서 완벽하게 대응을 못한다는거죠
저는 디젤 오버런은 급발진이 아니다 라고 했지만
이 역시도 급발진으로 볼 수도 있는거죠
뭐가 됐든 조작과 상관없이 RPM이 증가하는 현상이고
기어가 물려있으면 급출발이 되거나 급가속이 되니까요
옛날같으면 케이블 고착등의 문제로 발생 할 수도 있고
ECU 오작동으로 생길 수도 있고
디젤 오버런의 경우도
정비 소홀로 생길 수도 있고
개별 파츠의 불량으로 생길 수도 있고
애초에 설계결함일 수도 있구요
이 경우 레인지로버처럼 고질병으로 안고 가는거죠
옛날 현기차 보쉬제 오일펌프 결함 건도 마찬가지
오버런 하나만 봐도 발생 가능성이 수도 없이 많습니다
근데 급발진이 생길만한 부분은 오버런 이외에도 수도 없이 많죠?
즉 제조사도 어디에서 터질지 모른다
그들이 예측가능한 부분엔 안전장치를 때려박아 놨지만 그래도 생길 수 있다
또 제조사 문제가 아닐 경우의 수도 수없이 많다
이러니 급발진 문제가 전세계 어디에서도 사라지질 못하는거죠
이 와중에 조작미숙, 정비불량까지 겹치니
그냥 총체적 난국인겁니다
제조사 입장에선 수많은 안전장치를 뚫고 생기는 급발진을 인정해 버리면
이제 예측조차 안되는 사안들도 떠안아야하니
최대한 조작미숙, 정비불량
특정 파츠의 극히 일부 불량 쪽으로 모는거구요
레인지로버는 아예 오버런이 고질병인데
이거 급발진으로 책임 지나요?
정비소홀이라고 얘기하지
정부 이건 한국 뿐만아니라 미국 유럽등 전부
입장에서도 제조사에 책임을 지우려 해도
책임소재를 명확히 검증하질 못하고있죠
제조사 과실이다 하려고 해도
정비불량으로 발생한 급발진은
제조사 책임이 아니거든요
그러니 제조사에서도 대책을 만드는거죠
현기뿐만 아니라 타 제조사도
급발진에 대비한 안전장치는 들어갑니다
하지만 모든 상황에서 완벽하게 대응을 못한다는거죠
저는 디젤 오버런은 급발진이 아니다 라고 했지만
이 역시도 급발진으로 볼 수도 있는거죠
뭐가 됐든 조작과 상관없이 RPM이 증가하는 현상이고
기어가 물려있으면 급출발이 되거나 급가속이 되니까요
옛날같으면 케이블 고착등의 문제로 발생 할 수도 있고
ECU 오작동으로 생길 수도 있고
디젤 오버런의 경우도
정비 소홀로 생길 수도 있고
개별 파츠의 불량으로 생길 수도 있고
애초에 설계결함일 수도 있구요
이 경우 레인지로버처럼 고질병으로 안고 가는거죠
옛날 현기차 보쉬제 오일펌프 결함 건도 마찬가지
오버런 하나만 봐도 발생 가능성이 수도 없이 많습니다
근데 급발진이 생길만한 부분은 오버런 이외에도 수도 없이 많죠?
즉 제조사도 어디에서 터질지 모른다
그들이 예측가능한 부분엔 안전장치를 때려박아 놨지만 그래도 생길 수 있다
또 제조사 문제가 아닐 경우의 수도 수없이 많다
이러니 급발진 문제가 전세계 어디에서도 사라지질 못하는거죠
이 와중에 조작미숙, 정비불량까지 겹치니
그냥 총체적 난국인겁니다
제조사 입장에선 수많은 안전장치를 뚫고 생기는 급발진을 인정해 버리면
이제 예측조차 안되는 사안들도 떠안아야하니
최대한 조작미숙, 정비불량
특정 파츠의 극히 일부 불량 쪽으로 모는거구요
레인지로버는 아예 오버런이 고질병인데
이거 급발진으로 책임 지나요?
정비소홀이라고 얘기하지
정부 이건 한국 뿐만아니라 미국 유럽등 전부
입장에서도 제조사에 책임을 지우려 해도
책임소재를 명확히 검증하질 못하고있죠
제조사 과실이다 하려고 해도
정비불량으로 발생한 급발진은
제조사 책임이 아니거든요
ASTYNM님의 댓글
현재 기술로는 디젤 오버런을 완벽 차단하는게 불가능해서요
오버런 발생시의 대응책은 있지만
원천차단이 불가능합니다
이건 디젤이라는 연료의 특성과
내연기관의 구조 때문입니다
오버런 완벽 차단은
현재 내연기관의 구조를 완전히 뒤바꾸는 혁신이 없으면 안됩니다
급발진도 마찬가지지만
디젤오버런도 제조사마다 발생시의 대응책은
각종 특허로 보유하고 적용중입니다
위에도 말씀드렸지만
오버런과 급발진은 차이가 있고
오버런 발생시 운전자 대응책은
주행중이라면 기어 중립 후 브레이킹
오버런은 급발진과는 다르게
RPM 이상증가 외 타 파츠엔 문제가 없기에
기어와 브레이크 모두 정상작동 합니다
정차중이라면 파킹 후 하차해
이상연소가 멈출 때 까지 대기
이것 말곤 방법 없습니다
연료가 계속 공급되는건 아니기에
기다리면 엔진이 깨져나가든 꺼지든 뭔가는 됩니다
예방책은
엔진오일 제 때 교환하기
오일량에 변화가 있는 지 오일연소가 있는지
관심을 가질 것 정도네요
오버런 발생시의 대응책은 있지만
원천차단이 불가능합니다
이건 디젤이라는 연료의 특성과
내연기관의 구조 때문입니다
오버런 완벽 차단은
현재 내연기관의 구조를 완전히 뒤바꾸는 혁신이 없으면 안됩니다
급발진도 마찬가지지만
디젤오버런도 제조사마다 발생시의 대응책은
각종 특허로 보유하고 적용중입니다
위에도 말씀드렸지만
오버런과 급발진은 차이가 있고
오버런 발생시 운전자 대응책은
주행중이라면 기어 중립 후 브레이킹
오버런은 급발진과는 다르게
RPM 이상증가 외 타 파츠엔 문제가 없기에
기어와 브레이크 모두 정상작동 합니다
정차중이라면 파킹 후 하차해
이상연소가 멈출 때 까지 대기
이것 말곤 방법 없습니다
연료가 계속 공급되는건 아니기에
기다리면 엔진이 깨져나가든 꺼지든 뭔가는 됩니다
예방책은
엔진오일 제 때 교환하기
오일량에 변화가 있는 지 오일연소가 있는지
관심을 가질 것 정도네요